2025 산재 장해급여 총정리|등급별 보상기준부터 연금·일시금 선택 기준까지

 

산재 장해급여

🩺 산재 장해급여란?

산재 장해급여는 근로자가 업무상 재해로 인한 부상이나 질병이 치유된 후, 정신적·육체적 장해로 인해 노동능력이 감소된 경우 지급받는 산재보험 급여입니다.

치유란 더 이상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, 즉 증상이 고정된 경우를 의미하며, 이 상태에서 장해진단을 통해 등급이 결정됩니다.

✅ 장해급여의 종류

  • 제1급~제3급: 장해보상연금만 지급
  • 제4급~제7급: 연금 또는 일시금 선택 가능
  • 제8급~제14급: 장해보상일시금만 지급

🗂 장해급여 등급별 보상기준

장해 등급 장해보상연금 장해보상일시금
제1급329일분1,474일분
제2급291일분1,309일분
제3급257일분1,155일분
제4급224일분1,012일분
제5급193일분869일분
제6급164일분737일분
제7급138일분616일분
제8급-495일분
제9급-385일분
제10급-297일분
제11급-220일분
제12급-154일분
제13급-99일분
제14급-55일분

📝 장해급여 신청 요건 및 절차

  • 요양을 마친 후, 장해가 남은 상태일 것
  • 치료 종결 후 산재보험 의료기관에서 장해진단서 발급
  • 장해급여청구서와 함께 근로복지공단에 신청

📌 청구서류 목록

  • 장해급여청구서
  • 장해진단서
  • 방사선검사 자료
  • 진료기록부 등 추가서류

⏱ 청구기한

치유일 다음날부터 5년 이내 청구하지 않으면 소멸시효로 인해 권리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.

💡 연금 or 일시금 선택 기준

  • 제1~3급: 무조건 연금
  • 제4~7급: 선택 가능
  • 제8~14급: 무조건 일시금

🔒 장해급여 수급권 보호

  • 퇴직해도 권리는 소멸되지 않음
  • 양도·압류·담보 제공 불가
  • 공과금 부과 없음

📍 참고 링크